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인쇄전자 및 3D 프린팅 공정장비 개발
세부 분야: 유연 인쇄소자 (유기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투명 필름 등) 제작, 차세대 기능성 필름 (투명전극 필름, 이차전지 파우치 필름 등), 인쇄전자소자 (OTFT, OLEDs, OPVs 등), 인쇄전자 공정/장비 (Gravure-offset printing, Micro-gravure, Slot-die, Bar coating, Thermal roll imprinting, Solution shearing 등), 3D 프린팅 공정/장비 (SLS, 3DP, FDM) 개발, 스마트 글라스 및 콘택트 렌즈 응용 미세 회로 패턴 공정 개발, 롤투롤 생산 장비 및 DLB Reverse offset 연구, 하이브리드 3D 프린팅을 이용한 액티브인쇄전자시스템 개발
[대표 연구 내용]
인쇄전자 및 3D 프린팅 기술은 차세대 전자 소자 및 부품 제조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동수 교수는 기존의 한계를 넘어선 고성능, 고효율의 인쇄전자 및 3D 프린팅 공정장비와 소재 개발에 집중해왔습니다. 특히, 입체 트랜지스터 및 RNA/DNA 칩 제조용 나노 3D 프린터, 성능이 향상된 홀로그램 3D 프린터, DMS(Digital Mirror System) 3D 프린터 등을 개발하여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천 기술은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 및 초정밀 롤투롤 장비 개발로 이어져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으며, 스마트 글라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콘택트 렌즈의 RFID Tag 및 글루코 센서 응용, 그리고 스마트 국방 및 헬스케어 IoT 모듈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막대한 사업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까지 국내외 특허 등록과 기술이전 목표액 10억 원 달성을 통해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