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박경민

박경민

소속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AI요약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박경민 교수는 하이드로젤 기반 생체재료 및 조직 재생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입니다. 박 교수는 산소 및 생체 활성 이온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혁신적인 하이드로젤 개발을 통해, 상처 치유, 뼈/연골 재생, 심근경색 치료, 3D 바이오프린팅 등 다양한 생체 조직 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질병 치료 및 조직 손상 복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관련 특허들을 통해 실질적인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필을 통해 박경민 교수의 심층적인 연구 세계를 탐색하고, 그의 비전과 성과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박경민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박경민
직책교수
이메일-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인천대학교
부서 학과생명공학부
사무실 번호-
연구실박경민 교수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parklabinu.wixsite.com/pblab
홈페이지-

경력정보

회사명인천대학교
재직기간2024.02.01 ~ 재직 중
담당업무교수직 수행
회사명인천대학교
재직기간2019.02.01 ~ 2024.01.31
담당업무부교수직 수행
회사명인천대학교
재직기간2015.02.01 ~ 2019.01.31
담당업무조교수직 수행
회사명The Johns Hopkins University, USA
재직기간2012.07.01 ~ 2015.01.31
담당업무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연구 수행
회사명아주대학교
재직기간2012.02.01 ~ 2012.06.30
담당업무연구조교수로서 연구 수행

중요 키워드

#바이오잉크#재생의학#인공조직모델#하이드로젤#융복합연구#고분자생체재료#3D세포배양#생체접착제#신약개발#아토피피부염모델#약물전달#조직공학#특허기술#산소조절기술#상처재생

강의

담당 업무단일반생물학2 일반생물학실험2 유기화학1&2 의학공학 고분자공학 고급유기화학(대학원) 기능성 바이오소재 공학 특론(대학원)

대외활동

활동 내용[공동 연구] -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연구진과 공동 연구 참여 - 부산대학교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한동욱 교수 연구팀과 자체 산소 생성 바이오잉크 개발 공동 연구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주요 분야: 고분자 생체재료, 인공조직모델, 약물전달, 생체재료표면개질, 조직공학, 재생의학 세부 분야: 3차원 세포 배양, 하이드로젤, 바이오잉크, 생체접착제, 산소 조절 기술 [대표 연구 내용] 박경민 교수 연구팀은 고분자 생체재료 및 조직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소 조절 기술을 활용한 하이드로젤 및 바이오잉크 개발은 난치성 질환 치료 및 조직 재생 분야에서 높은 사업적 가치를 가집니다. - 자체 산소 생성 바이오잉크 개발: 체적 근육 손실(VML) 치료를 위한 바이오잉크를 개발했습니다. 이 바이오잉크는 과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여 세포 생존 및 근육 재생 신호를 동시에 제공하며, 이식 시 손상된 근육 조직의 효과적인 회복(근육 질량 144% 증가, 손상 부위 37% 이상 감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기존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재생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 3차원 하이드로젤 기반 인공 아토피 피부염 모델 개발: 기존 피부 모델의 한계를 넘어, 아토피 피부염의 실제 상태를 정밀하게 모방하는 3차원 하이드로젤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 모델은 특수 하이드로젤과 산소 농도 조절을 통해 질병 미세 환경을 구현하며, 신약 개발 및 다양한 질병 연구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하여 제약 및 바이오 산업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산소 공급을 통한 세포 배양 및 표면 개질 기술: 과산화칼슘을 이용한 카테콜아민 코팅 방법을 개발하여, 산소 공급을 통해 DA 산화를 촉진하고 저-결합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크고 컴팩트한 세포 스페로이드를 형성, 세포 연구 및 배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산화아연을 활용한 아연이온 방출형 하이드로젤은 상처 재생 능력을 향상시켜 조직 재생 재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학력

학력 사항박사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2012) 석사 아주대학교 생명공학과 (2008) 학사 아주대학교 응용화학과 (2006)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