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엽
김도엽
소속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AI요약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김도엽 조교수님은 무인항공기(UAV) 기반 통신 네트워크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중 기지국의 최적 배치, 무선 전력 전송 UAV 네트워크 관리, 지향성 안테나를 활용한 위치 및 자원 최적화, 그리고 OFDMA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설계 및 자원 할당 등 총 4건의 핵심 특허를 공개하셨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 에너지 효율 증대, 데이터 전송률 극대화 등 미래 무인항공기 통신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도엽 교수님의 혁신적인 특허 기술은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무인항공기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도엽 |
직책 | 조교수 |
이메일 | doyup@in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인천대학교 |
부서 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328358287 |
연구실 | 지능형 네트워크 최적화 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doyup.com |
홈페이지 | - |
경력정보
회사명 | 인천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최적화, 머신러닝, 그리고 알고리즘 설계 연구 수행. 지능형 네트워크 최적화 연구실(INO Lab.)에서 네트워크 최적화, 기계 학습, 확률 제어 및 알고리즘 설계와 같은 기본적인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며, 통신 네트워크, 컴퓨팅 시스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및 추천 시스템의 설계, 제어, 성능, 가격 및 보안 측면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함. |
중요 키워드
#네트워크 최적화#머신러닝#통신 시스템#강화학습#UAV#알고리즘 설계#공중 기지국#통신 네트워크#무인항공기#6G#드론#5G#지능형 네트워크#최적화#무선 전력 전송
강의
담당 업무 | 대학수학, 이동통신, 컴퓨터네트워크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통신 네트워크 최적화, 머신러닝, 알고리즘 설계, 지능형 네트워크, AI for Network, Network for AI, 통신 요소 기술 최적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최적화, 강화학습 기반 지능형 의사결정, 클라우드-엣지-터미널 IoT 네트워크, 멀티암드 밴딧 기반 빔 정렬, 블록체인 기반 연합 학습, 하이브리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SWIPT 기반 IoT 센서 네트워크, UAV 배치 및 궤적 최적화, 5G 네트워크 프론트홀링, 전이중 MIMO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 재생 에너지 기반 무선 네트워크 자원 관리, 대규모 MIMO 시스템 안테나 및 사용자 스케줄링, FANET 토폴로지 관리 및 재구성. [대표 연구 내용]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인항공기(UAV)를 활용한 통중 신서비스 제공은 재난, 외딴 지역 통신 등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비행 경로 최적화, 에너지 효율성, 자원 할당 등 복합적인 기술 난제가 존재합니다. 김도엽 교수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UAV 지원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들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공중 기지국의 최적 배치] 특허를 통해 지형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커버리지 영역을 최대화하는 비행 경로 결정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UAV 네트워크를 위한 하이브리드 오프라인-온라인 비행 궤적, 충전 및 사용자 스케줄링 관리] 특허는 UAV의 충전 에너지 최소화와 효율적인 비행 및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합니다. 나아가, [제어 가능한 지향성 안테나를 갖춘 공중 기지국의 위치, 빔 및 무선 자원 공동 최적화]와 [무인항공기 중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네트워크에서의 하이브리드 오프라인-온라인 무인항공기 경로 설계 및 부채널 할당] 특허는 각각 사용자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데이터 전송률 합계를 최대화하는 자원 할당 및 비행 경로 최적화 기술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5G/6G 이동통신 시대에 필수적인 UAV 기반 통신 인프라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하여, 스마트시티, 재난 대응,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고 관련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보유 기술 로딩 중...